본문 바로가기

텍스트

어느 위대한 작가의 전처 비난, '사실들: 한 소설가의 자서전'

필립 로스(1933~2018)가 1991년 펴낸 '사실들: 한 소설가의 자서전'은 작가의 분신 주커먼이 표현하는 대로 "내 전처는 쌍년이었다"라고 말하는 글이다. 그리 길지 않은 글의 초반 3분의 1은 유대계 미국인으로서 작가의 성장기를 다룬다. 아버지는 유대계에 대한 은근한 멸시와 차별을 굳건한 의지로 이겨낸 남자였다. 로스는 그런 가정에서 모나지 않은 삶을 살다가 대학에 진학한다. 여기까진 부드럽게, 애상 어리면서도 적당히 진지한 분위기의 글이다.

 

그러다가 로스가 조시라는 여성을 만나는 대목부터 글의 분위기가 급변한다. 연상의 조시는 유대계가 아니었고, 다소 난폭한 가정환경에서 자랐으며, 이혼한 뒤 홀로 두 아이를 키우는 웨이트리스였다. 단편 작가로 데뷔했고, 이제 남은 삶을 문학에 바치겠다고 다짐하는 즈음의 로스는 "평생 노골적으로 여자를 유혹해본 적"이 없었음에도 왜 그런지 그날따라 조시에게 다가가는 모험을 한다. 그건 로스에게 '심리적 결단'이었다. 그 결단이 이후 로스의 삶에 미칠 영향은 누구도 몰랐을 것이다. 

 

이 책의 나머지 3분의 2는 조시와 사귀고, 가짜 임신 소식에 속아 결혼하고, 조시의 과대망상을 가까스로 견디고, 천박하고 몰상식한 조시와 헤어지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가까스로 별거했지만 이혼에 성공하지는 못하고, 그러면서도 수시로 조시의 협박과 모욕에 시달리는 과정을 그린다. 조시가 1968년 5월, 마틴 루터 킹과 바비 케네디의 죽음 사이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뜬다. 조시의 부음을 듣고도 로스는 무슨 사악한 장난처럼 여긴다. 로스는 조시가 타다가 죽은 자동차를 몬 사람을 자신의 '해방자'로 여기고, 조시의 죽음은 "불구대천의 원수가 자동차 사고로 갑자기 제거되는 기적"이라고 표현한다. 급기야 이렇게까지 말한다. "내가 죽이지 않았는데 그녀가 어떻게 죽을 수 있단 말인가?" 로스는 이제 조시와 수입을 나눌 필요가 없다는 생각에 조시의 장례식장으로 가면서 택시를 탄다. 로스가 조시의 죽음에서 느끼는 건 '무한한 안도감'으로 요약된다.

 

여러 장편들에서 접한 로스의 문체는 현란했다. 길고 긴 한 문장에도 여러 가지 생각과 의미를 담는다. '자서전'에서 로스는 서른 아홉의 나이로 죽은 전처를 현란한 표현으로 욕한다. 느낀 점은 이렇다. 작가는 전처 욕을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 작가는 아무리 나쁜 인연이었다 하더라도 젊은 나이에 비극적으로 간 전처를 공개적으로 비방할 정도로 대담해야 하는구나. 그 정도로 자신의 캐릭터와 인격을 세상에 까발려야 하는구나. 물론 조시가 정말 나쁜 아내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무튼 조시에겐 입이 없다. 그녀는 작가가 아니었고, 세상에서 책을 낼만큼 유명하지 않았고, 게다가 죽었으니까. 스스로 변호하지 못하는 상대를 일방적으로 비방하는 것이 옳은 일인가. 로스는 옳고 그름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다. 세상이 어떻게 생각하든 하고 싶은 말은 하는 것이 작가니까. 하고 싶은 말을 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지면 된다. 로스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다. 

 

픽션에도 작가의 삶이 녹아있을 것이다. 픽션의 형식으로 전처 욕을 해도 빠져나갈 구멍은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자서전'이라는 이름을 가졌다. 전처 욕에 따른 윤리적 비방을 하고 변명할 구석은 없다. 로스는 그걸 다 감당한다. 

 

작가의 분신이자 몇 편의 소설 주인공이었던 주커먼이 로스에게 보내는 편지로 글이 마무리된다. 주커먼은 책을 출간하지 말라고 권한다. 죽은 전처를 비방하는 문제의 윤리적 복잡함 외에도, 소설가가 '사실'을 전한다고 선언했을 때의 난점까지 언급한다. 

 

어째서 사람들은 소설에 대해 말할 때보다 사실들에 대해 말할 때 자신들이 더 확고한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느낄까? 사실들이 훨씬 더 다루기 힘들고 결론도 잘 나지 않으며, 상상력이 일깨우는 탐구심을 죽일 수도 있는데 말이야. 지금까지 자네의 일은 사실들에 상상력을 엮어 꼬는 것이었는데, 이 책에서 자넨 그것들을 풀어서 뜯어내고 있군. 
자네는 근본적으로 허구적인 인물들에 광적인 모습을 투사해 세상에 내보냄으로써 공공연히 자신에 대한 오해를 초래했네. 하지만 일부 독자들이 그걸 곡해하고 자네가 진짜 어떤 사람인지 전혀 모른다고 해서 굳이 자네가 그들의 생각을 바로잡아줄 필요는 없다고 보네. 그와는 반대로 -그들에게 그런 믿음을 갖게 한 것을 성공이라고 여기게. 그게 이른바 소설이 하는 일이니까. 현상태에서 자네는, "아무도 나를 이해하거나 나의 커다란 가치를 알지 못해-진짜 내면의 내가 어떤지 아무도 몰라!"라고 소리 내어 웅얼거리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못할 게 없네. 소설가에게 그런 고충은 소중히 간직해야 할 것이니까. 

아무튼 로스는 책을 냈고, 그 책은 타언어권의 독자가 읽기 좋게 번역까지 됐다. 이 책은 내가 읽은 가장 이상한 자서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