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텍스트

비 오는 밤의 꿈같은 인생, '나, 제왕의 생애'


오래 전부터 제목을 들었던데다가 얼마전 독재자에 대한 소설을 읽은터라 비교해보려 손에 들었는데, 독재자 소설은 빼고 이 책만 언급해도 되겠다 싶었다. 중국 작가 쑤퉁의 '나, 제왕의 생애'(아고라)는 오랜만에 소설 읽기의 즐거움을 안긴 책이다. 조금 더 집중했다면 한 자리에서 350여쪽을 읽어낼 수 있겠다 싶을 정도.

가상의 고대왕국 섭국이 배경이다. 왕이 승하한 뒤 여러 명의 왕자 중 열네살의 단백이 왕위를 물려받는다. 장자 단문이 왕위에 오를 것이라 모두가 예상했던 터였기에, 단백의 왕위 계승은 본인조차 놀란 일이었다. 마음도, 자질도 준비되지 않은 단백은 서로 사이가 나쁜 할머니와 어머니의 수렴청정 아래 무기력한 제왕으로서의 나날을 보낸다. 어린 섭왕은 선왕의 후궁들의 혀를 자르거나, 충성스러웠던 패장을 활로 쏘아 죽이거나 하는 식의 포악한 짓도 하지만, 이 제왕은 근본적으로 무력한 존재였다. 무해한 궁녀나 신하나 군인의 목숨을 손아귀에 쥐고 있다는 것 빼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청년으로 자라난 섭왕은 유일하게 사랑했던 후궁과의 행복한 결혼도 이루지 못한 채, 쇠락하는 국가의 운명을 방관한다. 

3부에서 이야기는 급속도로 방향을 튼다. 철지부심한 이복형제 단문이 군사를 몰고 돌아오자, 섭왕은 왕위에서 쫓겨난다. 새 섭왕 단문은 구 섭왕 단백을 죽이지 않고 평민으로 살아가도록 경성에서 쫓아낸다. 단백은 평소 동경하던 줄타기 광대의 길을 걷는다. 치국하고 평천하했으나 평화로운 사적인 삶을 누리지는 못한 늙은 제왕의 회고록을 생각하고 읽어나가던 나같은 독자는 어리벙벙했다. '왕이 광대가 됐다'는 급격한 전환이 어색하고 작위적이었다. 하지만 작가는 급커브 구간을 능숙하게 통과한 뒤 다시 액셀레이터를 밟는 레이서처럼, 광대로서의 삶도 흡입력있게 써나간다. 제왕의 옷이나 권력이 제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내심 생각해왔던 단백은, 고공의 줄 위에서 구경꾼들을 내려다본 뒤에야 비로소 손에 딱 쥐어지는 권력을 향유한다. 단백의 재능은 국가 경영이나 정치적 술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줄 위에서 균형을 잡는데에 있었다. 물론 잔학하게 꿈틀대는 세상은 단백이 행복한 외줄 광대의 삶을 누리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마지막 두 페이지에서 단백의 남은 반평생이 간략하게 정리된다. "나는 남은 절반의 생을 고죽산의 고죽사에서 지냈다"는 문장으로 시작해 "'논어'를 읽고 또 읽으며 무수한 밤을 보냈다. 나는 어떤 날은 이 성현의 책이 세상 만물을 모두 끌어안고 있다고 느꼈고, 또 어떤 날은 거기에서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고 느꼈다"로 끝난다. 연기처럼 무상한 삶이 간결하고도 아름답게 요약된다. 단백은 로마의 현제가 아니어서, 인생이나 국가나 세계에 관한 어떤 지혜도 남기지 않지만, 그래서 어쩌면 '나, 제왕의 생애'는 "비 오는 밤에 놀라 깨어났을 때의 꿈결"같이 어지럽고 애처롭고 허무한 책이지만, 그런 몽환의 세계관에 빠졌다 나오는 것도 소설 읽기의 즐거움이다. 난 더 보람있고 유익하고 능률적인 삶을 살기 위해 이 책을 읽기 시작한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