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미지

임권택 감독의 말+<달빛 길어올리기> 리뷰

임권택 감독의 '말'은 정말 독특했다. 알다시피 그는 어눌하고 느리고 게다가 끝없이 이어지는 말을 구사한다. 말에는 마침표가 없어서 말을 끊지 않는 한 다 듣는데 오래 걸린다. 방송 인터뷰를 하기엔 부적당하고, 신문에서 쓰려면 문어로 각색해야 한다. 이번에 쓴 기자간담회 기사도 그런 과정을 거쳤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길고 느리고 종횡하는 말들이 결국 끝까지 들으면 일이관지하는 맥이 있다는 것이다. 그 말들 사이에 정연한 논리가 서 있고, 전후맥락이 고려돼 있으며, 유머도 잠복해 있다. 동서양 지혜의 스승인 소크라테스와 공자를 글을 남기지 않았다. 그들은 제자들을 말로 가르쳤고, 이후의 제자들이 이 말을 불완전한 글로 옮겼다. 어쩌면 임권택 감독의 말은 그런 스승을 닮았는지도 모르겠다. 게다가 '불륜 비슷한 것'에 대한 통찰이라든가, 자신이 만들었던 반공영화, 새마을영화에 대한 이야기라든가 이런 부분은 매우 흥미로웠다. 기자간담회에서 나왔던 임권태 감독의 말을 최대한 원문 그대로 옮겨본다. <달빛 길어올리기> 리뷰도 함께 올린다.

<달빛 길어올리기> 현장의 임권택 감독.

-한지에 대해 얼마나 연구하셨나요.
한지와 언제 만났느냐 얘기하자면 어머니 뱃속에서 세상에 나올 때부터 한지와 만나, 사방에 천정, 장판, 모든 것이 한지. 술자리에서 민병록 교수께서 한지 얘기를 하고 친구분이 한지 사업에 들어가서 많은 아픔을 겪은 분이 있다고 해서, 그쪽을 취재하면은 재미있는 소재인 것을 알 것이라고... 거기에 성큼 현혹됐다고 할 수는 없으나 그 말에 얼른 빠져든 것은 뭐이냐하면은 아시다시피 저는 판소리, 동양화 통해서 우리 선조들이 해놓은 한국인의 문화가 갖는 흥이나 정서 등 이런 것들을 주욱 해오면서 이제는 무엇을 해야할까 하는 다음 영화를 걱정하고 있을 적에, 한지를 소재로 하자는 제의를 해오면서 앞뒤 없이 들어가면 찾을 수 있는 것이라고 간단하게 생각해서 1년 이상 취재를 했고요, 그렇게 하면서 또 많은 분도 만났고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이 영화는 우선 이 한지가 지금 우리에게는 뭐인가. 그 좋았던 한지가 세계적으로 존재감을 잃고 있는 이런 시대를 살면서 이것은 알려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고요, 알리는 것은 우리 한지가 얼마나 좋은 한지였으며 우리가 이 한지를 왜 되찾아야 하는가 이런 간단한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많은 한지와 얽힌 생활문화를 다 따라가면은 한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고, 이런 시나리오를 해가지고 4개월을 찍었는데 그때도 한지에 관해서 얘기해줄게 있다 해가지고 계속 정보를 주신 분들이 있었는데 듣는 것마다 다 새로운 얘기들예요. 그래서 촬여이 끝날 무렵까지도 새로운 한지 얘기를 들으면서 이게 섣불리 한지의 깊고 넓은 세계를 겁도 없이 영화화한다고 대들었다는 그런 제 경솔함, 이런 것에 대해서 굉장히 후회를 하면서도 이런 깊은 세계를 어느 한쪽이나마 영화로 담을 수 있는 그런 행운을 잡았다는 점에서 한쪽으로는 좋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지에 대해 많은 것을 찍어내지 못한 아쉬움이 있기도 했으나 현재 담겨진 그런 내용만이라도 우리가 한국민족이라고 해야겠네요 그런 훌륭한 우리 문화에 대해서 다 관심을 가져주고 영화를 꼭 좀 봐주셨으면 하는 생각을 합니다. 어떤 점에서 보면요 제가 찍으면서도 강수연양은 우리가 다큐멘터리 찍고 있는지도 모르겠다고 묻기도 했어요. 사회자께서 말씀하신대로 여러 가지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기도 했고요, 저는 이 영화를 찍으면서 무슨 생각을 했냐면 옛 군사정권 때 반공영화도 찍고 새마을영화도 찍은 감독이면서 정권이 요구하는 그런 주제나 소재를 영화에 강제로 담아가는 이런 일을 저지르고 있지 않나 하는 마음 안에서의 걸림같은 소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때는 국책이랄지 여러 그 당시의 정권의 지향했던 것을 영화에 담아내지 않으면 안됐던 시절의 얘기고, 지금은 나같은 나이든 감독이라도 누군가는 이런 영화를 해서 남기지 않으면 안된다는 절박한 생각도 했고. 아마도 이 영화에 대해서 해외 영화에제서 큰 관심을 안보인 이유 하나는 아마도 우리 나라 문화에 대해서 강제로 존재를 너무 인위적으로 드러내려는 불쾌감이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합니다. 저는 정말 잘 이런 영화를 만들었다는 생각을 하고요. 열심히 했습니다.  

-한지 영화인줄 알았는데, 세 남녀의 애욕이 들어있습니다. 어떤 이유입니까.

"집사람 들으면 곤란한 소리인데.(웃음) 전주시가 하는 왕조실록 복본하는데 취재하다 보니까 일이 되는 것도 아니고 안되는 것도 아니고 지지부진하고 세월은 가고 있는데 7급 공무원은 자기 집안의 환자를 둔 가장으로서 공무원의 생활. 가장으로서의 생활을 해가는 것을 과장없이 죽 따라가서 잡아내는데 그 생활이나 이런 것들을 어떻게 극적인 요소는 드라마틱한 거는 없다고 할지라도 사소한 삶을 어떻게 실감있게 잡아내고 거기서 별 자극없이 그런저런 인물을 가지고 사는 사람, 가족들, 한지에 미쳐서 다큐 만들고 있는 이런 사람들의 감정을 가감없이, 과장도 모자람도 없이 이렇게 잡아내고자 하는 것이 원래의 목적이었고요. 이런 영화에 다큐 작가와 7급 공무원 사이의 불륜 비슷한 이런 것을 이 영화에서 삶 안에 깊이 파고들어와서 삶 자체에 대해 뭐인가 불편한 것을 주는 극적 확대를 굉장히 경계했고요. 그냥 둘 사이의 불륜스러운 감정들이 일상을 살면서 늘 안으로부터 피어나기도 했다가 잠자기도 했다가하는 큰 사고 없이 일상이 지나간다는 것. 그 이상 확대해서 봐서는 안될 영화라고 생각하고요. 여러분들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우리 한지의 좋다는 것을 알면서 그 안으로 빠져들어가는 흔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애기. 이 정도로 봐주시기를 바라면서 했습니다. 우리 집사람에게 혼날까 해서..(웃음)"

 -아지막으로 덧붙일 인사 말씀을 해주신다면요
"<달빛>에서 큰 틀 정해놓고 계속 열어놓고 늘 대화했던 연기자는 박중훈씨거든요전에는 제 틀을 미리 정해놓고 완강하게 틀 안에 살곤 했는데 이렇게 편하게 열고 서로 상의 하면서 이렇게 영화를 완성을 하면서 이렇게 영화를 해가는 이렇게 많이 열어놓고 되는구나 알아차린 계기가 됐다는 것도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달빛 길어올리기>의 임권택 감독과 강수연.


<달빛 길어올리기> 속에서 한지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찍는 감독 민지원(강수연)은 극영화로 넘어가지 않고 다큐멘터리에 남은 이유로 ‘책임감’을 든다. ‘의무’가 법적 강제성을 주는 어감이라면, ‘책임’은 도덕적 구속에 가깝다.

101번째 영화의 소재로 한지(韓紙)를 들고나온 임권택 감독도 극중 민지원처럼 책임감을 느끼고 있는 듯 보인다. 천대받고 잊혀진 전통 한지를 영화를 통해서라도 남겨놓지 않으면 안된다는, 내가 아니면 할 사람이 없다는 절박한 마음이다. 그렇게 커다란 짐이 70대 중반의 노장에게 지워졌다.


7급 공무원 한필용(박중훈)이 전주시청 한지과에 새로 부임한다. 필용은 뇌경색으로 쓰러진 뒤 몸이 불편한 아내 이효경(예지원)의 병수발을 들고, 아들은 큰 집에 맡겨놓은 채 살고 있다. 필용은 시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조선왕조실록 복본화 사업에 성공한다면 승진 기회를 얻을 거라는 기대감을 갖고 일한다. 일에 불철주야 매진하던 그는 지원의 다큐 작업을 도와주면서 그녀와 조금씩 가까워진다. 늘 집에만 있는 아내는 필용의 마음이 동요하고 있음을 눈치챈다.


영화는 한지 다큐를 방불케한다. 필용이 보면서 연구하는 텔레비전 다큐, 지원이 찍는 한지 다큐, 전체 영화의 경계가 때로 흐려진다. 필용과 지원이 다큐 가편집본을 보다가 그 가편집본이 다큐 시사회장의 스크린으로 넘어가는 장면은 상징적이다. 노감독의 책임감은 등장 인물들에게 많은 말을 하게 한다. 특히 영화의 중심이 된 필용은 복화술사 감독의 인형이 돼 한지의 아름다움과 이를 재현하려는 사람들의 노력을 예찬한다.

<달빛 길어올리기> 스틸.

임 감독은 한 남자(필용)와 두 여자(효경·지원)의 생활인으로서의 모습을 강조함으로써 소재의 무게를 더는 길을 찾는다. 이들의 삼각관계에 대한 묘사는 흔해 보이면서도 힘이 있다. 효경은 말 한 마디 쉽게 하지 못하는 장애를 겪고 있고, 이는 필용이 저지른 윤리적 방종의 결과다. 필용에게 효경은 평생 안고가야할 물리적·정신적 빚인데, 필용은 가끔 이 빚을 덜어보려는 수작을 부리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그는 엄청난 악당도, 타고난 선인도 아니기 때문이다. ‘종이 뜨는 천민 출신’인 효경은 필용과 결혼하면서도 시댁으로부터 박대를 당했다. 몸과 마음의 상처 때문에 자폐적인 삶을 사는 그는 현재 남편의 사랑을 구하는 대신, 지명만 알 뿐 어디있는지 알 수 없는 고향을 그리워한다. 한지의 기원을 찾던 영화는 효경이라는 캐릭터 덕에 마음의 기원을 찾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강수연이 추천해 오디션 끝에 역을 따냈다는 예지원은 안방의 이불 속에 머물면서도 머나먼 고향을 꿈꾸는 효경 역을 노련하게 소화했다. 취재를 하면서도 한지의 우수성에 대해 끊임없이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는 지원은 영화를 객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지 세계화’를 추진중인 전주시가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임 감독에게 작품을 의뢰했고, 임 감독이 이에 응하면서 <달빛 길어올리기>가 시작됐다. 100편의 필름 영화를 찍어온 임 감독의 첫 디지털 영화이며, 1996년작 <축제> 이후 첫 현대물이기도 하다. 한국영화 최초로 롯데엔터테인먼트, 쇼박스, CJ엔터테인먼트의 3대 투자·배급사가 공통 지원에 나섰다. 영화팬이라면 김동호, 김영빈, 민병록 등 국제영화제의 전·현직 위원장과 임 감독의 부인인 채령 등 카메오를 찾는 재미도 쏠쏠하겠다. 17일 개봉.


<달빛 길어올리기> 스틸.